지역특성
중랑천을 따라 조성된 수변지역으로 단독주택이 밀집되어 있으며. 벚나무, 은행나무, 장미가 이어진
성동구의 대표적 산책로인 2.5Km에 이르는 『송정벚꽃길』이 있다.
동유래
이 동의 동명 유래는 문헌이나 구비설화로 전해 오는 것이 없어 그 유래를 알 길이 없으나 다만 송정동 앞에 솔마장벌 또는 양마장평으로 불리는 들판이 있는데 이곳이 양마장 솔마장과 관계가 있어 숫마장, 즉 숫말을 기르는 곳이라 하여 숫마장으로 부르던 것이 차츰 전음되어 솔마장으로 되고 그것이 다신 한자로서 송정(松亭)이라 하지 않았나 추측된다.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양주군 고양주면에 속했으며 갑오개혁(1894) 때에는 한성부 남서(南署) 두모방(성외) 전관계 장내능동이 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1년 경기도령 제 3호에 의해 경성부 두모면 장내능동이라 했으며, 1914년 경기도고시 제 7호에 의해 경성부 행정구역을 새로 정할 때 경기도 고양군 독도면 송정리라 하였다.
그 뒤 1949년 대통령령 제 159호에 의해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어 성동구에 속하였으며 1950년 서울시조례 제 10호에 의해 송정리를 송정동으로 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양주군 고양주면에 속했으며 갑오개혁(1894) 때에는 한성부 남서(南署) 두모방(성외) 전관계 장내능동이 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1년 경기도령 제 3호에 의해 경성부 두모면 장내능동이라 했으며, 1914년 경기도고시 제 7호에 의해 경성부 행정구역을 새로 정할 때 경기도 고양군 독도면 송정리라 하였다.
그 뒤 1949년 대통령령 제 159호에 의해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어 성동구에 속하였으며 1950년 서울시조례 제 10호에 의해 송정리를 송정동으로 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일반현황
(기준일 : 2023년 1월 1일 현재)
면적 | 0.75㎢ (우리구의 4.04%) |
---|---|
인구 | 10,081(남: 5,334명, 여: 4,747명) |
세대수 | 5,458세대 |
통반조직 | 23통, 171반 |
주택 | 총 주택수 : 1,922(단독:889, 아파트:748, 기타(연립포함):285) |
법정동명 | 송정동 |
공공시설 및 주요시설 현황
공공기관 | 의료시설 | 복지시설 | 금융기관 | 교육기관 | |||||||
---|---|---|---|---|---|---|---|---|---|---|---|
병의원 | 한의원 | 약국 | 경로당 | 어린이집 | 대학교 | 고등학교 | 중학교 | 초등학교 | 유치원 | ||
2 | 4 | 1 | 5 | 6 | 5 | 0 | 0 | 0 | 0 | 1 | 1 |
번지 일람표
법정동명 | 관할지역(번지/호) |
---|---|
송정동 | 1-42~49, 2-1~2-7, 12-1, 15-1~15-4, 16-1~16-19, 17-1~17-4, 18-1, 20-1~20-10, 66-3~66-280, 67-3~67-34, 68-47, 70-18~70-69, 71-1~71-26, 72~72-291, 73-2~73-291, 73-400~73-709, 73-710~73-1029, 73-1081~73-1092, 79-1~79-2, 81, 83~100, 103~104 |
동연혁
- 송정동은 중랑천 남쪽 송정동지역의 행정동 관할구역 명칭임.
- 서울특별시에 편입된 후인 1953년 3월당시에는 장안북부동회에서 행정을 담당하다가, 1955년 4월18일(시조례 제66호) 동제(洞制) 실시로 장안동사무소에서 행정을 담당함.
- 1970. 5. 18 (시조례 제613호) 화양동사무소가 신설되어 화양동, 군자동, 모진동과 함께 관내에 속하였음.
- 1975. 10. 1 (시조례 제981호) 송정동사무소가 신설되면서 송정동과 군자동 중의 중랑천 남동쪽만을 관할하게됨.
- 1980. 7. 1 (시조례 제1413호) 송정동사무소 관할구역을 분할하여 군자동사무소를 설치하면서 축소됨.
- 1995. 3. 1 (법 제4802호) 동이로를 경계로 분구에 따른 행정구역이 개편되어 송정동 일부가 광진구 군자동으로 편입되고, 군자동 일부가 송정동으로 편입되어 오늘에 이름.
- 2000. 4. 19 송정동 73-1010의 청사가 낡고 오래되어, 송정동 72-31호에 지상2층 연면적 127평규모의 신청사로 이전해 새로 업무를 보고 있으며, 구청사는 개조하여 주민을 위한 주민자치회관으로 개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