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특성
옥수동의 동명은 옥수동에 옥정수(玉井水)라는 유명한 우물이 있었고, 그 우물의 이름을 따서 마을이름을 옥정숫골이라고 한데서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이 곳은 도성 밖 동호 지역으로 한강의 일부로서 중랑천과 한강이 만나는 두물이 만나는 곳이라 하여 두뭇개, 두멧개 또는 한자음으로 두모주, 두모포라고 불렀다.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1936년 경기도 고양군, 시흥군, 김포군 지역이 서울(경성)로 편입되면서 행정구역명이 정-통으로 통일되면서 종로구, 중구, 용산구, 동대문구, 성동구, 서대문구, 영등포구, 마포구 등 8개 행정구가 설치되는 과정에서 한지면 신촌리가 응봉정, 수철리가 금호정, 두모리가 옥수정으로 각각 변경되면서 현재의 지명이 생겨났다. 즉 일제가 지명을 한지면 두모리에서 옥수정으로 변경하면서 생겨난 지명이다. 조선시대에는 이곳을 두뭇개 · 무멧개 · 두물개 또는 두모주 · 두모포라 불렀으며 영조 27년(1751)에 간행된 어제수성윤음 부록 ≪도성삼군문분계총록≫ 에 의하면 1751년에 3개 방(성신방·정심방·예성방)이 폐지되고 새로 3개 방(한강방·둔지방·두모방)이 신설되었는데 한성부 남부 두모방(성외)두모포계(어영청 후영 관할)에 속했으며 갑오개혁(1894)때에는 남서(南署)두모방(성외) 두모포계의 두모동이 되었다. 일제 점령 초기인 1911년 경기도령 제 3호에 의해 경성부 두모면 두모리라 했으며 1914년 경기도고시 제7호에 의하여 경기도 고양군 한지면 두모리가 되었다. 1936년 조선총독부령 제8호에 의해 경성부에 편입되어 일제식 명칭인 옥수정이 되었으며, 1943년 조선총독부령 제 163호에 의해 구제 실시에 따라 성동구역소 관할 아래 있었다. 1946년 군정법령 제108호에 의해 경성부가 서울시로 고쳐지고, 서울시 헌장 제1조에 의해 옥수정을 옥수동으로 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1975년 10월 1일 대통령령 제7816호에 의해 옥수동 일부가 한남동으로 편입된 바 있다.옥수동 339번지에 있었던 옥정수 우물은 4.19이후 옥수로가 개통되면서 매몰되고 말았다.
옥수동은 한강을 끼고 있는 높은 산들이 병풍처럼 둘러쌓여 있어서 서울근교에서는 드물게 한적한 곳으로 많은 유적과 일화가 남아있는 유서깊은 동네이다.
동유래
옥수동의 동명은 옥수동에 산5번지에 있었다는 옥정수(玉井水)라는 위장에 좋다는 유명한 우물이 있었고, 그 우물의 이름을 따서 마을이름을 옥정숫골이라고 한데서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이 곳을 두뭇개, 두멧개 또는 한자음으로 두모주, 두모포(동국여지승람-도성 동남쪽 5리허,연산군일기 11년 5월 9일조에 등장)라고 불렀다.
옥수동은 성동구 서남쪽 지역의 법정동 명칭이다. 1988년 7월 1일(구조례 제59호) 옥수동이 옥수제1동, 제2동으로 분동되었다가 2008년 8월 11일 다시 합쳐져 오늘에 이른다. 옥수동은 활발한 재개발사업으로 한남하이츠, 삼성, 극동, 극동그린, 현대, 옥수하이츠, 풍림아이원, 리버젠, 파크힐스 등의 아파트가 위치해 있다. 특히 한강을 바라볼 수 있는 조망권이 탁월하여 “강북의 압구정동”이라 불리고 있다. 옥수동 244번지 동쪽에는 조선초 국가에서 젊고 유능한 학자들(국조호당록 참고)을 뽑아 일정기간 사가독서(賜暇讀書)하도록 한 독서당(중종12년 서기1517년,동호독서당은 임란때 소실)이 세워져 있었다. 그래서 약수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를 독서당길이라 칭한다. 동명인 옥수동은 원래 한성부 남부 두모포계였다가 일제때 명칭이 두모동에서 옥수정으로 변경된 후(1936년4월1일) 1946년 서울시헌장 제1조에 의해 옥수동으로 굳어져 현재에 이른다
옥수동 339번지에 있었던 옥정수 우물은 4.19이후 옥수로(현재 독서당로)가 개통되면서 매몰되고 말았다. 옥수동 산1번지에는 태조5년이후 동빙고(옥수동8번지) 북쪽에 설치해 왕이 동빙제를 지내던 사한단도 있었다 한다.
옥수동은 한강을 끼고 있는 높은 산들이 병풍처럼 둘러쌓여 있어서 서울근교에서는 드물게 한적한 곳으로 많은 유적과 일화가 남아있는 유서깊은 동네이다.
일반현황
면적 | 통 | 반 | 세대수 | 인구수 | 65세이상 | ||
---|---|---|---|---|---|---|---|
계 | 남 | 여 | |||||
1.95k㎡ | 39 | 312 | 10,747 | 25,443 | 11,795 | 13,648 | 4,346 |
공공시설 및 주요시설
공공기관 | 의료시설 | 복지시설 | 금융기관 | 교육기관 | |||||||
---|---|---|---|---|---|---|---|---|---|---|---|
병의원 | 한의원 | 약국 | 경로당 | 어린이집 | 대학교 | 고등학교 | 중학교 | 초등학교 | 유치원 | ||
4 | 29 | 8 | 11 | 15 | 17 | 4 | - | 1 | 1 | 2 | 4 |
청사 현황
구분 | 소재지 | 임차면적 | 임차내용 |
---|---|---|---|
동 주민센터 | 독서당로203, 3층 | 415.86㎡ (전용 125평) | 동장실, 민원실, 주민등록실, 서고 |
자치회관(다목적실), 동대본부 | 독서당로203, 4층 | 415.9㎡ (전용 125평) | 동대본부, 회의실, 다목적실, 주민자치회 |
독서당, 작은도서관 | 독서당로203, 5층 | 421.42㎡ (전용 127평) | 독서당, 작은도서관 |
번지 일람표
법정동명 | 관할지역(번지/호) |
---|---|
옥수동 | 2, 14, 16, 17, 19, 24, 34, 35, 101~115, 117~125, 284, 285, 287, 291, 293, 294, 296, 299, 300, 305~307, 312, 314, 315, 317, 321~324, 331, 334~336, 343, 348~349, 354, 356~358, 360~365, 391, 393, 414, 516, 517, 558 |
동연혁
- 광복직후부터 옥수동회가 설치되어 옥수동 지역의 행정을 담당해 왔는데 1955년 4월 18일(시조례 제66호) 동제(洞制)실시로 금호동과 함께 금옥동주민센터에서 행정을 담당하다가 1959년 10월 31일(시조례 제165호) 금옥동이 3개(금북동, 금남동, 옥수동)로 분리될 때 옥수동주민센터가 설치되었다.
- 1975년 10월 1일(시조례 제981호)옥수동이 옥수제1동과 제2동으로 분리되었으나 1980년 7월1일(시조례 1413호)에 다시 옥수동으로 통합되었다.
- 1988년 7월1일(구조례 제59호)옥수제1동과 제2동으로 다시 분동되었다가 2008년 8월 11일 다시 통합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