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은 음식물 쓰레기일까요?
일반 쓰레기일까요?
단어를 아래 검색창에 입력해주세요
검색결과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3원칙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기본 원칙 3가지만 기억하세요!
- 수분 줄이기
- 부피 줄이기
- 배출요령 실천하기
- 장보기 전 필요한 품목을 메모하기: 장을 보러 가기전, 냉장고에 보관되어 있는 식재료를 확인하고 필요한 품목을 메모합니다.
- 반가공 깔끔히 손질된 식재료 구매하기: 양파 등 식재료가 깔끔히 손질된 제품, 반가공된 제품을 구매하면 조리 전 음식물쓰레기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장을 본 후 바로 손질하기: 식재료가 상하는 것을 막기 위해 구매 후 바로 손질하여 냉장/냉동시킵니다.
- 가족 식사량에 맞게 요리하기: 가족의 평소 식사량에 맞게 요리하여 음식물쓰레기 낭비를 방지합니다.
- 냉장고 속 자투리 식재료 활용하기: 사용하고 남은 식재료를 한 곳에 모아두었다가 볶음밥과 같은 요리에 활용합니다.
- 물기 제거 후 배출하기: 채반을 이용하여 물기를 뺀 후 배출하면, 냄새도 줄이고 음식물쓰레기 양도 줄일 수 있습니다.
- 냉장고 정기적으로 정리하기: 냉장고를 정기적으로 정리하면서 남아있는 재료와 유통기한을 확인합니다.
환경부,한국환경공단
지구의 평균온도가 1℃ 올라가면 벌어질 일
- 폭염, 폭우, 가뭄, 산불 등 기후위기 심화
- 기후위기로 인한 사망자 수 약 30만명 예측
- 지속적인 가뭄으로 농토와 물 부족 현상 심화
-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 높이 약10cm 상승
- 지구 생물의 10% 멸종위기
2030년 1.5℃ 지구온난화 제한 목표를 달성하려면?
2019년 대비 온실가스 순배출량 43%를 줄여야 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대책 중 하나로 음식물 쓰레기 20%를 줄여야 합니다.
성동구 연간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과 온실가스 배출량
연도 |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톤/연) | 온실가스 배출량(톤/연) |
---|---|---|
2017년 | 26,040 | 43,226 |
2018년 | 25,875 | 42,952 |
2019년 | 25,934 | 43,050 |
2020년 | 25,156 | 41,758 |
2021년 | 24,297 | 40,333 |
"음식물 쓰레기 감량 실천! 미래 세대를 위한 지구환경과 우리 모두의 생명을 지키는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