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정보

기후변화란

기후변화란?

사전적 정의

인간의 활동에 의한 온실 효과 등의 인위적인 요인과 화산 폭발, 성층권 에어로졸의 증가 등의 자연적 요인에 의한 효과를 포함하는 전체 자연의 평균 기후변동

기후변화협약(UNFCCC)에서의 정의

전지구의 대기 조성을 변화시키는 인간의 활동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원인이 되어 일어나고, 충분한 기간 동안 관측된 자연적인 기후변동성에 추가하여 일어나는 기후의 변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에서의 정의

기후 특성의 평균이나 변동성의 변화를 통해 확인 가능하고 수십 년 혹은 그 이상 오래 지속되는 기후 상태 변화를 말하며, 자연적 변동성 때문이든 인간 활동에 따른 결과이든 시간 경과에 따른 모든 기후변화를 일컬음

기후변화의 원인

자연적인 원인

기후변화는 외적으로 야기된 변화뿐만 아니라 기후 시스템 요소의 변화와 요소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외적 요소에 의한 기후변화의 대표적인 예로는 화산 분화에 의한 성층권의 에어로졸 증가, 태양 활동의 변화, 태양과 지구의 천문학적인 상대 위치 변화 등이 있습니다. 외적 요인 없이도 기후 시스템은 자연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후시스템의 5가지 주요 구성요소(온도, 습도, 강수, 풍속, 낮 길이) 및 대기권, 수권, 빙권, 지권, 생물권 각 요소들이 각기 상호 작용하여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자연적인 원인

인간 활동이 대규모적으로 기후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것은 산업 혁명 초기인 18세기 중엽부터로 1970년부터 2004년 사이에 지구 온실가스 배출량은 70%나 증가하였으며(IPCC, 2007), IPCC 제5차 평가보고서(2015)에 의하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이 매해 급격하게 상승하여 1970년부터 2011년까지 40여 년간 배출한 누적 온실가스가 1970년 이전 220년 동안의 누적 배출량과 비슷하다고 합니다. 인간 활동, 특히 공장이나 가정에서의 화석연료 연소와 생물체의 연소 등은 대기 구성 성분에 영향을 주는 온실가스와 에어로졸을 생산하여 온실가스를 증가시키고 대기 중 에어로졸에 의해 태양 복사에너지 반사와 구름의 광학적 성질 변화(산란효과에 의한 지구 냉각화)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또한 염화불화탄소(프레온가스) 및 기타 불소 화합물, 브롬 합성물 등의 방출은 복사 강제력에 영향을 주고 성층권의 오존층도 감소시키며, 도시화와 무리한 토지개발이나 산림 채취 등으로 인한 토지 이용의 변화는 지구 표면의 물리적, 생물학적 특성에 영향을 줍니다.

출처 : 환경부 기후변화홍보포털(https://www.gihoo.or.kr)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https://kaccc.kei.re.kr/portal/index.do)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맑은환경과
  •  담당자 이동석
  • 전화번호 02-2286-6356
  • 최종수정일 2021.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