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사업

에이즈·HIV

에이즈(AIDS) 란?

우리가 흔히 말하는 AIDS는 질병 그 자체를 의미하는 말이 아니다.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되면 면역세포는 서서히 파괴되어 면역체계가 손상되고, 손상 정도가 일정 수준을 넘게 되면, 건강한 사람에게는 잘 나타나지 않는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원충 또는 기생충에 의한 감염증과 피부암 등 여러 가지 증상들이 나타나는데, 이 증상들을 총칭하여 AIDS라고 부른다.

감염경로

에이즈는 공기나 물에 의해서 옮겨지지 않을 뿐 아니라 악수, 포옹, 입맞춤, 술잔 돌리기 등 일상생활에서는 감염되지 않는다. 에이즈에 감염된 사람(이성 또는 동성)과의 성접촉을 했을 때, HIV에 감염된 혈액을 수혈했을 때, 감염된 사람과 주삿바늘을 공동으로 사용 시 감염되며 임산부가 이미 감염된 경우 신생아에게 전파가 된다.

에이즈를 예방하는 몇 가지 방법

  • 배우자 외 여러 사람과의 성교를 삼가야 한다. (동성연애시 항문성교 삼가)
  • 부득이 성관계를 가질 경우 처음부터 끝까지 콘돔을 착용해야 한다.(콘돔으로 예방할 수는 있으나 콘돔피임 실패율이 14%인 만큼 과신은 금물!)
  • 오염된 주사 바늘을 통해 전파될 수 있으므로 주삿바늘을 공동으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 사용시 상처를 낼 수 있는 물품들 (면도기, 칫솔, 손톱깎이, 귀걸이 등)은 공동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 침을 맞거나 문신을 하거나 귓불을 뚫을 때는 반드시 멸균된 기구를 사용해야 한다.

검사를 받아 보려면?

전국 보건소나 대학병원 등 전문진료기관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아보도록 하여야 한다. (보건소는 무료검진) 검사는 개인의 신상보호를 위해 익명으로 검사가 가능하며 검사 결과는 절대 비밀이 보장된다.

검사결과 에이즈에 감염된 경우

취업 등 직장생활이나 일상생활에는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는다. 다만 성병 검진을 받아야하는 직업에는 종사할 수 없으며, 개인의 건강관리를 위하여 6개월에 1회 면역기능 검사를 실시하여 건강상태를 체크하고 면역기능이 저하된 경우 정부에서 발병억제제를 무료로 투약해 주고 있다.

HIV 검사 관련 자주 하는 질문

  • 질문 '어떤 경우’ 검사해야 하나요?
    답변
    • 모르는 사람과 콘돔 없이 성관계를 가진 경우
    • 성관계 파트너가 여러 명이거나 상대방에게 여러 명의 파트너가 있는 경우
  • 질문 ‘언제’ 검사해야 하나요?
    답변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의심스러운 일이 있은 후 약 12주 후, 가까운 보건소나 병·의원에서 검사받으세요.

  • 질문 HIV 검사는 ‘어디서’ 받을 수 있나요?
    답변

    에이즈 검사는 희망하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전국 보건소나 가까운 병·의원에서 검사가 가능하며 특히 보건소에서는‘무료 익명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질문 HIV 검사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답변
    ‘HIV 검사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 검사방법, 신속검사(손가락 피 한 방울), 정맥 채혈(5CC) 별 결과확인에 대한 표
    검사방법 신속검사(손가락 피 한 방울) 정맥 채혈(5cc)
    결과 확인 약 20분 소요 3~7일 소요

에이즈 관련기관

질병관리본부 에이즈ㆍ결핵관리과 043-719-7331~2 대한에이즈예방협회 02-861-4114 (에이즈 상담 : 1599-8105) 한국 에이즈 퇴치연맹 02-927-4071 (외국인 상담 : 02-927-4322) 구세군유지재단법인 보건사업부 02-6364-4085 (상담전화 : 02-6364-4084) 한국카톨릭 레드리본 02-753-2037~8

문의

질병예방과 감염병예방팀 02-2286-7044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질병예방과
  •  담당자 박해나
  • 전화번호 02-2286-7044
  • 최종수정일 2021.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