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사업

성매개감염병

성매개감염병

성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접촉성 질환으로 발생 예방과 감염자에 대한 조기발견과 치료를 통해 개인의 건강은 물론 타인에게 전염되지 않도록 하고, 정기검진 대상자에 대한 등록관리, 성매개감염병 무료검진을 실시하고 있다.

건강진단 대상자 검진

위생분야종사등의 건강진단규칙 제3조에 의거 성매개감염병 및 후천성면역결핍증에 관한 건강진단을 받아야 하는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아래와 같이 정기적으로 건강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성매개감염병 및 후천성면역결핍증 건강진단대상자에 대한 건강진단 항목 및 횟수

성매개감염병 및 후천성면역결핍증 건강진단 대상자

  • 1「청소년보호법시행령」제3조제4항제1호에 따른 영업소의 여성종업원
  • 2「식품위생법시행령」제22조제1항에 따른 유흥접객원
  • 3「안마사에 관한 규칙」제6조에 따른 안마시술소의 여성종업원
  • 4특별자치도지사 · 시장 · 군수 · 구청장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성매개감염병 및 후천성면역결핍증을 감염시킬 우려가 있는 행위를 한다고 인정하는 영업장에 종사하는 사람

성병 무료검진

  • 대상 검사를 희망하는 구민
  • 검사항목 매독, 임질, 클라미디아감염증
  • 준비물 신분증
  • 검사결과 3일정도 소요되며 검진결과는 전화상담 또는 직접 방문

성매개 감염병 주요 증상

매독
  • 매독 원인균 감염에 의한 성기 및 전신성 질환으로 감염 후 2~10주내에 감염부위에 구진과 경성하감이라는 궤양을 일으킨다. 매독은 크게 선천성 매독과 후천성 매독으로 분류되며 후천성 매독은 감염 단계별로 다양한 임상 증세를 나타낸다.
  • 1기 매독 10~90일의 잠복기가 지난 후 균체가 침입한 부위에서 발진과 궤양이 발생하며 2~6주 후에 자연 소멸된다.
  • 2기 매독 감염 후 6주~6개월 후에 발생하며, 열, 두통, 권태감, 피부병변, 림프절 증대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 3기 매독 감염 후 10~20년이 지난 후 피부, 뼈, 간 등에 과립성 병변을 나타내며, 3기 매독의 주 증세는 신경매독으로 중추신경을 퇴화시킨다.
임질

성 접촉에 의해 감염되어 요도염, 자궁경부염, 난관염 등의 증세를 나타낸다. 여성에게서는 불현성 감염이 많다.

클라미디아 감염증
  • 최근 세계적으로 발생률이 가장 높은 성병으로 남성에게는 비임균성 요도염, 여성에게서는 자궁경부염의 형태로 나타난다.
  • 자각증세가 없는 불현성 감염의 경우가 50%를 넘어 진단을 위한 검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발견되면 치료가 가능하나 방치할 경우 골반염, 불임 등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문의

질병예방과 감염병예방팀 02-2286-7044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질병예방과
  •  담당자 박해나
  • 전화번호 02-2286-7044
  • 최종수정일 2021.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