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특성
금호2-3가동은 관내 금호산이 위치하고 있어 벚꽃이 만개하는 4월에는 금호산 벚꽃축제가 개최되며, 지하철 3호선 금호역과, 지하철 5호선 신금호역이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고, 전국 최초로 건설된 교육·문화·체육 복합시설인 "열린금호교육문화관"이 자리하고 있어 금호동 지역주민들이 다양한 문화·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금호 제13구역, 제17구역, 제18구역, 제19구역의 재개발이 완료 되었고, 더불어 제16구역 재개발의 주택정비까지 완료되면 대단위 아파트지역으로 성동구 주거의 요충지가 될 전망이다.
동유래
금호라는 동 이름은 옛날 이곳에서 선철(銑鐵)을 녹여 무쇠솥, 농기구 등을 주조하던 무쇠막(무수막 또는 무시막 이라고도 함)이라는 명칭에서 나왔다. 무수막을 한자명으로는 수철리(水鐵里)라 하지만 당시 마포구 신수동, 구수동도 수철리라 불렀기 때문에 이와 구분하여 수철리의 철(鐵)에서 금(金)을, 수(水)에서 호(湖)를 인용하여 이곳을 금호 또는 동무수막 이라고 하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왕십리의 배추장수와 함께 무쇠골(수철리)의 솥장수가 유명하였다.
금호2,3가동은 대부분 구릉지대이나 어느 동보다 지형이 가파르고 기복이 심해 많은 재개발사업이 추진중이며, 남쪽으로 독서당길이 지나고 서쪽으로는 동호로가 지나는 한편 지하철 3호선 금호역과 5호선 신금호역이 위치하고 있어 교통이 편리한 지역이다.
금호2가동은 광복 직후부터 금호1가동과 함께 금호북부동회로 칭하였고 금호3가동은 금호남부동회로 칭하였다가 1955년 4월 18일 동제(洞制)의 실시로 함께 금옥동이 되었다.
금옥동이 1959년 10월 31일 금북동, 금남동, 옥수동으로 분동되면서 금호2가동은 금북동, 금호3가동은 금남동으로 호칭되었고 1970년 5월 18일에 법정동 지역과 동일하게 금호1,2,3,4가동사무소가 각각 설치되었다.
그 후 2008년 8월 11일(성동구행정기구설치조례 제780호) 금호2가동과 금호3가동이 통합되어 금호2,3가동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일반현황
면적 | 0.64㎢ (우리구의 4.09%) |
---|---|
인구 | 22,034명 (남:10,524명, 여:11,510명) |
세대수 | 9,877세대 |
통반조직 | 34통, 291반 |
주택 | 총 주택수 : 7,418 (단독:893, 다세대: 1,338, 연립:129, 아파트: 10(5,058세대)) |
법정동명 | 금호동2가, 금호동3가 |
공공시설 및 주요시설
공공기관 | 의료시설 | 복지시설 | 금융기관 | 교육기관 | |||||||
---|---|---|---|---|---|---|---|---|---|---|---|
병의원 | 한의원 | 약국 | 경로당 | 어린이집 | 대학교 | 고등학교 | 중학교 | 초등학교 | 유치원 | ||
4 | 19 | 8 | 11 | 11 | 15 | 4 | 0 | 0 | 0 | 1 | 2 |
번지 일람표
법정동명 | 관할지역(번지/호) |
---|---|
금호동2가 | 금호동2-3가 전지역 |
금호동3가 |
동연혁
- 1751년 한성부 남부 도모방 수철리계
- 1894년 한성부 남서 도모방 수철리계 수철리동
- 1910.10.1 경성부 남서 두모방 수철리계 수철리동
- 1911.4.1 경성부 도모면 수철리
- 1914.4.1 경기도 고양군 한지면 수철리
- 1936.4.1 경성부 금호정
- 1943.6.10 경성부 성동구 금호정
- 1946.10.9 서울시 성동구 금호동 강조행정구역 금호북부동회, 금호남부동회
- 1955.4.18 동회폐지 동제실시 서울시 성동구 금옥동
- 1959.10.31 금북동, 금남동, 옥수동으로 분동(시조례 제165호)
- 1964.2.1 금북동, 금남동을 금호동1가~금호동4가로 분동(시조례 제320호)
- 1970.5.18 법정동과 동일하게 금호1,2,3,4가동 각 행정동 설치(시조례 제613호)
- 2008.8.11 금호2가동과 금호3가동이 금호2,3가동으로 통합